DESIGN PROJECTS
![]() | ![]() |
---|---|
![]() | ![]() |
![]() | ![]() |
![]() | ![]() |
![]() | ![]() |
![]() |
세운상가 활성화를 위한
공공공간 설계 국제공모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Re-Structuring Seunsangga Citywalk
기간 2015. 5.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가동 175-4번지 일대
면적 43,575㎡
공사비 296억원(부가세 포함)
설계비 1,193,258,000원(부가세 포함)
발주처 서울특별시
Epiphyte Seoul
김영민 + 송하엽 + 정재희 + 민현준 + 송민호
|
본 설계의 목표는 현재 세운상가군의 데크와 주변의 공공공간을 재정비하여 보행환경을 개선하고 다양한 활동을 담고 있는 주변지역과 연계하여 서울 역사도심의 중심인 북악산~종묘~세운상가군~남산을 잇는 남북보행중심축을 복원하는 것이다.
세운상가군은 서울의 '도시·건축적 유산'일 뿐 아니라 그 주변지역과 연계되어 다양한 활동이 기대되는 역사·문화·산업의 복합체이다.
본 설계를 통하여 세운상가군이 도심산업 및 남북보행축의 중심공간으로서 새로운 문화적 가치와 의미를 지닌 공간으로 조성되어 세운지구 전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Epiphyte Seoul
Epiphyte is a plant that grows harmlessly upon another plant or stone, and derives its moisture and nutrients from the air, rain, and sometimes from debris accumulating around it. Epiphyte plants are sometimes called “air plants” because they do not root in soil.
Likewise, Epiphyte Seoul means an air-city that is connected via elevated decks and bridges like Seunsangga. Seunsangga has been a mega-structure that sits on the existing city with minimal connection to the city fabric, and has disconnected the existing streets. It has remained as a foreign structure in the city. The idea of epiphyte is required in situating Seunsangga as a renewed device that can interconnect the underdeveloped surrounding area and eventually restructure the implanted Modern urbanism of Seoul. This plan proposes a connective nature and culture in revitalizing Seunsangga deck based on “epiphyte” concept to create a walkable city.